개발 이야기

[파이썬 완전정복] 제어문 - 조건문

ANDYLION 2020. 5. 10. 15:19
728x90
반응형

조건문이란?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건문은 다른 용어로 "분기문"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 같은 의미입니다.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실행하는 문장이 달라집니다. 

파이썬에서 주로 사용하는 조건문은 바로 if 조건문입니다.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if 조건 :
	실행문장1
else :
	실행문장2

조건이 참이면 실행문장1이 실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실행문장2가 실행됩니다.

 

조건문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연산자가 필요합니다.

기호

의미

==

같다

!=

같지 않다

>

크다

>=

크거나 같다

<

작다

<=

작거나 같다

조건이 참인 경우와 거짓일 경우 작업 수행하기

#조건문 if 수행
#조건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 수행하기 지정

name = input("조회할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

if name=='앤디라이언' :
    print("앤디라이언 사용자가 접속했습니다.")
else :
    print("사용자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들여쓰기를 잘못하는 경우

만약 실행문장을 위와 같이 들여쓰기를 하지 않으면 IndetationError가 발생합니다.

조건문을 실행할 때는 반드시 들여쓰기는 필수입니다.

 

다음의 경우는 조건문이 참인 경우만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조건문이 참인 경우만 있는 경우
if 조건 :
	실행문장1
	실행문장2
	실행문장3    

이 경우는 참이 아니면 실행할 문장이 없기 때문에 그냥 넘어갑니다.

다음은 조건이 여러 개인 경우 if ~ elif ~ else로 이루어집니다.

#여러 개의 조건에 따라 다른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if 조건1 :
	실행문장1
elif 조건2 :
	실행문장2
elif 조건3 :
	실행문장3
    ...
else :
	실행문장n
# 메뉴별 조건문 실행하기
_list = input("메뉴를 입력하시오 (짜장면, 짬뽕, 탕수육, 돈까스) : ")

if  _list=='짜장면' :
	print("짜장면을 선택했습니다.")
elif _list=='짬뽕' :
	print("짬뽕을 선택했습니다.")
elif _list=='탕수육' :
	print("탕수육을 선택했습니다.")
elif _list=='돈까스' :
	print("돈까스를 선택했습니다.")
else :
	print("메뉴를 잘못 선택했습니다.")

돈까스를 선택하는 경우 elif _list == '돈까스' 조건이 참이되어 실행문을 실행합니다.

만약 해당 조건 이외의 조건을 선택하는 경우 "메뉴를 잘못 선택했습니다."를 출력합니다.

여러 조건과 논리연산

다음은 여러 조건이 참인 경우를 위한 논리연산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C언어 

파이썬

의미

A && B

A and B 또는 A & B

A와 B 조건 모두 참인 경우

A || B

A or B

A와 B 둘 중에 하나만이라도 참인 경우

!A

not A 또는 !=A

A가 아닌 경우

 

#and 연산자 사용 예

number = int(input('점수를 입력하시오 : '))

if number >= 90 and number <= 100 :
	print("A등급입니다")
elif number >=80 and number <= 89 :
	print("B등급입니다")
elif number >=70 and number <=79 :
	print("C등급입니다")
elif number >= 60 and number <= 69 :
	print("D등급입니다")
else :
	print("F등급입니다")    

#& 연산자 사용 예
number = int(input('점수를 입력하시오 : '))

if number >= 90 & number <= 100 :
	print("A등급입니다")
elif number >=80 & number <= 89 :
	print("B등급입니다")
elif number >=70 & number <=79 :
	print("C등급입니다")
elif number >= 60 & number <= 69 :
	print("D등급입니다")
else :
	print("F등급입니다")    

 

# or 연산을 사용해서 조건문 만들기
#문자 A와 a 둘 중에 어느 문자를 입력해도 참이 되는 경우

str = input("문자를 A or a를 입력하시오 :")

if str=='A' or str=='a' :
	print("a(A)를 입력하셨습니다.")
else :
	print("a(A)가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다시 입력하세요")

# 조건이 not인 경우

str = input("문자를 입력하시오 :")

if str != 'A' and str != 'a' :
	print("입력한 문자는 %s입니다"%str)
else :
	print("입력한 문자는 a(A)입니다.")

 

728x90
반응형
SMALL

'개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L 유형  (0) 2020.05.12
Origin HAL Interface  (0) 2020.05.12
[RTOS] QNX  (0) 2020.05.09
오토핫키 ImageSearch, Send, Sleep  (0) 2020.05.08
메세지 큐 (Message Queue)  (0) 202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