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ubsystem 2

WSL - su: Authentication failure

안녕하세요. 앤디라이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linux root 권한을 가지기 위해서 su 명령어를 실행하고 passwd를 입력했는데 인증 실패 이슈에 대한 해결책을 알아보겠습니다. WSL을 설치하고 분명 username과 passwd를 입력했습니다. 그럼 대부분 당연하게 처음 입력한 passwd를 입력할 것입니다. 그러나 su 명령은 root 권한을 얻는 것이라 root passwd가 따로 필요한데 WSL 설치할 때 root에 대한 passwd를 입력하지 않았습니다. sudo passwd root root에 대한 passwd를 설정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root에 대한 passwd를 생성하고 su를 수행합니다. username이 andy -> root로 넘어간 것을 확인할 수..

개발 이야기 2023.01.30

[linux] WSL (Windows Subsystem Linux)

안녕하세요. 앤디라이언입니다. 육아와 업무에 지쳐 그동안 블로그 포스팅에 소홀했습니다. 앞으로는 열심히 업무와 유익한 정보로 글을 다시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금일은 WSL을 이용하여 CTS 환경을 구성하려고 합니다. CTS 환경은 Windows에서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Linux환경이 필요합니다. Windows 환경에서 구성할 방법은 vmware나 virtualbox와 같은 가상 머신에 ubuntu 환경을 구성하고 CTS를 진행할 수 있으나 Windows10부터는 WSL로 가상 머신이 필요 없이 CTS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WSL 설치 및 환경 구성에 대해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

개발 이야기 2023.01.30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