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은 예외처리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예외처리란? 특정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특정 행위를 해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프로그래밍을 할 때 문법오류나 오타의 경우는 빌드할 때 오류에 대한 내용을 바로 알려주고 빌드 실패를 합니다. 참 다행이죠? 그런데 논리적인 에러의 경우는 어떤가요? 빌드는 정상적으로 됩니다. 그런데 프로그램이 실행되다가 갑자기 심각한 오류 메세지와 함께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바로 이러한 문제때문에 예외처리를 하게됩니다. 만약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이 1~10 범위에서 입력을 하라고 했을 때 11을 입력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프로그램 입장에서는 사용자에게 물음표를 날리고 싶지만 그 내용이 없기 때문에 물음표도 못날리고 실행 범위 밖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