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공부를 진행하기 앞서서 모듈의 정의부터 살펴봅시다.
모듈은 특정 기능을 재사용하기 위해
모아놓은 사용자 정의 함수 혹은 클래스, 변수 집단입니다.
개발자들이 흔히 말하는 API가 바로 모듈의 좋은 예가 될 것입니다.
모듈은 우리가 필요할 때 직접 만들어서 사용해도 되고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둔 모듈을 설치하여 불러와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필요한 모듈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
먼저 IDLE 프로그램을 열어 작성 후 파일을 저장하겠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 두개를 작성했습니다.
module.py파일은 test.py와 같은 폴더에 저장합니다.
import를 사용해서 모듈을 선언하고,
해당 모듈에 들어 있는 함수를 실행해주면 됩니다.
위와 같이 실행을 하면 결과는 모듈 내부의 print()함수를 실행합니다.
# 모듈 저장 경로 변경하기
현재 모듈을 "C:/dev/moduleEx/"에 test.py와 함께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경로가 변경되면 이 모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경로를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현재 경로를 $(ROOT)라고 표현하겠습니다.
$(ROOT)에 하위 폴더를 만들어서 모듈을 만들고
하위 폴더에 있는 모듈을 실행시켜보겠습니다.
# subdir/module.py가 있는 경우
# first,
from subdir import module
# second,
import sys
sys.path.append("C:\Dev\moduleEx\subdir") # path 등록
그럼 정말로 위 두 방법이 효과 있는지 한번 볼까요?
첫 번째 방법은 하위 폴더에 있을 때 편하게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특정한 위치에 있다면 힘들겠죠?
그래서 sys모듈을 통해 path를 등록해줍니다.
마지막으로 파이썬에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둔 모듈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 모듈 설치해서 API 사용해보기
먼저 terminal이나 command창을 실행합니다.
저는 이미 numpy가 설치되어 있어서
pip install numpy를 했을 때 위와 같은 메세지가 떴습니다.
그래서 특정 모듈을 삭제해봤습니다.
pip uninstall numpy로 삭제를 했습니다.
그리고 pip install numpy==1.15.1으로 1.15.1버전의 numpy를 재설치를 진행합니다.
pandas 모듈을 설치하고 pandas의 Series API를 사용해서 결과 값을 출력해보겠습니다.
API를 통해 list값이 위와 같이 출력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 모듈(module)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개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완전정복] 파일 관리 (txt, csv, xls) (2) | 2020.06.20 |
---|---|
[파이썬 완전정복] 운영체제 모듈 (os module) [1] (0) | 2020.06.20 |
[파이썬 완전정복] 사용자 정의 함수 만들기 (0) | 2020.06.17 |
[파이썬 완전정복] 여러 건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스트(list) (1) | 2020.06.17 |
[파이썬 완전정복] '*'버튼 입력에 따라 랜덤 숫자 돌리기 (1)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