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와 continue는 제어문인 반복문 (for, while)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무한 반복을 수행하다가 원하는 순간에 반복을 중지하고 싶다거나 특정 순간은 실행하지않고 넘기는 경우 사용합니다.
Break
예를 들어 1~100까지 숫자를 반복하는데 30을 만나는 경우 반복을 중지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게 만들어보겠습니다.
# break
# 1 ~ 100까지 반복 수행하다가 30에서 break를 수행하여 반복을 중지하고 종료하기
for i in range(1, 101) :
if i > 30 :
break
print(i)

break문은 반복작업 중에 중간에 멈추고 루프 밖으로 빠져나온다는 의미입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죠.
우리는 공장에서 무수히 많은 반복작업을 하다가 점심시간이 되면 다 멈추고
점심먹으러 가지요? 네
간단하게 그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한히 많은 반복작업 중에
그만 두고 점심이나 쉬기 위해서 중지하는 것
그것이 바로 Break 구문입니다.
Continue
그럼 이번에는 건너뛰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우리는 1 ~ 50까지 출력하려고 했지만,
생각해보니 짝수 혹은 홀수만 찍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생각해봅시다.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1 ~ 50 에서 짝수만 출력하시오.
#case 1
for i in range(1,51) :
i+=1 #짝수만 출력
print(i)
#case 2
for i in range(1,51/2):
i*=2 #짝수만 출력
print(i)
#case 3
for i in range(1,51):
if i%2 == 1:
continue;
print(i)

continue는 break와 다르게 작업을 중지하지 않습니다.
continue도 실사례를 적용해서 한번 얘기해볼까요?
공장에서 불량품을 제외하는 작업을 진행한다고 생각해봅시다.
정상인 제품은 그냥 패스하고 불량품이 있는 경우 해당 라인에서 제거한다면 Continue와 같다고 느껴지시나요?
반복전인 라인은 계속 흐르면서 불량품만 빼고 계속 작업이 진행된다는 것은 Continue를 사용하여 해당 불량품을 뺀 나머지를 생산한다고 생각하면 쉽게 느껴질 것입니다.
여기까지 break와 continue 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은 데이터 유형과 주요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완전정복] 문자열 유형 (0) | 2020.06.14 |
---|---|
[파이썬 완전정복] 다양한 데이터와 주요 함수 (0) | 2020.06.03 |
[파이썬 완전정복] 제어문-반복문 [2] (0) | 2020.05.21 |
[파이썬 완전정복] 제어문 - 반복문 [1] (0) | 2020.05.21 |
ION memory allocator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