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이야기

삼성 갤럭시 z플립5 (galaxy z flip5)

ANDYLION 2023. 7. 27. 00:15
728x90
반응형

 
오늘은 7월 26일 저녁 8시에 언팩 행사가 있던 제트플립 5 (지플립 5)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번 제트플립5 언팩 행사에 저 역시 굉장히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유는 당연히 이제 슬슬 핸드폰 갈아타기를 할 시기가 왔기 때문이죠.

금일 있었던 갤럭시 언팩 행사는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 언팩 바로가기

 
언팩 행사에서 공개된 제트플립5 디자인은 기존에 찌라시로 돌던 그 디자인 그대로 나왔다.

 

반응형

제트플립5 (지플립5)의 특징은 두 가지 정도로 보인다.

첫 번째로, 플렉스 힌지를 사용하면서 핸드폰을 접었을 때 깔끔하게 접힌다.

두 번째로, 커버 디스플레이의 변화이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260x512의 해상도에서 720x748의 해상도로 변화가 왔다.
이제 핸드폰 잘 떨어트리는 사람은 수리비가........ 많이 나올 예정이다.

 
배터리도 1시간의 재생시간이 증가했다.
하지만 용량은 기존 제트플립 (지플립4)와 동일하다. 아마도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조금(?) 적용한 느낌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궁금한 것은 스펙의 변화일 것이다.
유튜브나 다른 블로그를 찾아봐도 스펙에 대한 정보가 자세히 나온 곳이 없다.
사실 나는 노트10+를 쓰다가 제트플립3 (지플립3)로 교체 후 느낀 것은 역시 편하게 들고 다니는 대신에 많은 것을 희생한 느낌이었다.
노트10+에 비해 제트플립3 (지플립3)는 하드웨어 성능이 많이 떨어지고, 카메라 역시 저사양으로 적용된 사례였다.
그래서 제트플립5 (지플립5)에서 하드웨어 성능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알고 싶어서 이렇게 글로 정리를 했다.

 
만약 제트플립5 (지플립5)로 핸드폰을 교체한다면, 5가지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 번째, 플렉스 힌지 사용으로 접힌 상태가 변화가 생긴다. 예전에 약간 뜬 공간이 거슬렸는데... 이제는 그걸 안 볼 수 있을 것 같다.
두 번째, 무게의 변화다. 이건 무게가 더 늘어나니까 안 좋은 것 같은데... 그래도 뭐... 4g 정도야 이해한다.
세 번째, 커버 디스플레이의 변화이다. 커버 디스플레이가 변화하면서 화면을 닫은 상태로 많은 것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네 번째, 스토리지 512GB를 선택하여 용량을 늘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게 많은 공간이 필요할까? 싶지만, 공간이 많으면 적은 메모리를 늘려서 핸드폰의 속도를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용량은 클수록 좋다.
다섯 번째, 배터리 용량이 증가하면서 핸드폰 지속시간이 증가한다. 이 또한 환영할 일이지만 제트플립4 (지플립4)를 사용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변화가 없기 때문에 제트플립 5로 갈아탈 이유는 없어 보인다.
여섯 번째, AP의 변화이다. 5nm의 8core 스냅드래곤에서 4nm의 8core 스냅드래곤 2세대는 속도 개선이 예상된다.
실제로 삼성 홈페이지에서 보면 GPU/NPU/CPU 성능이 약 20% 정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갤럭시 제트플립5 (지플립5) 색상

 

민트

그라파이트

크림

라벤더

 
이 글을 쓰면서 제트플립4 (지플립4) 사용자들은 커버 디스플레이 변화와 AP 변화 밖에 없기 때문에 무리해서 핸드폰을 바꿀 필요는 없어 보인다.
제트플립3 (지플립3) 사용자라면 AP성능, 배터리 개선, 스토리지 증가 (512GB 사용하는 경우), 커버 디스플레이, 힌지 디스플레이 등 많은 변화가 있기 때문에 핸드폰 뭐로 교체할까 고민하고 있는 분들이 있다면 추천한다.
 
나 역시 제트플립3 (지플립3)를 쓰다가 카메라 성능 때문에 갤럭시 23S 울트라로 갈아탈까도 고민했지만,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폴더폰을 버릴 수가 없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교체할까 한다.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