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이야기

[파이썬 완전정복] 사용자 정의 함수 만들기

ANDYLION 2020. 6. 17. 23:05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 함수면 함수지 왜 사용자 정의 함수냐고

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가 붙은 함수는 파이썬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직접 만든 함수를 나타냅니다.

 

함수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def 함수이름 :" 으로 표현합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

#return이 있는 경우
def 함수이름(인수) :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
         
    return 결과 값
    
#return이 없는 경우
def 함수이름(인수) :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
    실행할 문장n
    

C언어의 경우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


#include <stdio.h>

/*return 값이 있는 경우
	a와 b의 인자를 받아서 결과 값인 sum을 리턴하는 내용입니다. */
int calculator(int a, int b)
{
	int sum = 0;
    
    sum = a + b;
    
    return sum;
}

/*return 값이 없는 경우
	디버그 모드 출력 */
void printDebug(bool enabled)
{
	if(enabled == true)
    {
    	printf("디버그 모드 온");
    }
}

그럼 이 녀석을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리턴이 존재하는 이유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든 값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f(x) = x+2라는 2차원 함수를 생각해보죠.

우리가 x의 값을 넣어서 얻고 싶은 값이 뭘까요?

y 라는 결과 값입니다.

리턴의 존재 의미는 여기에 있습니다.

결과 값이 필요한 경우는 리턴값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반대로 함수 밖에서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라면

리턴 값이 필요 없습니다

 

사용자 정의함수는 실무에서 굉장히 많이 사용됩니다.

 

코드 라인을 줄이기 위해,

특정 모듈을 감추기 위해,

시나리오별로 관리하기 위해,

기타 등등의 이유로 사용자 정의 함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많이 연습하고, 모듈 별로 구분하는 습관은

프로그래밍하는 습관에서 중요합니다.

 

오늘 사용자 정의 함수는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SMALL